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본문시작

조회 수 6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누가 뭐래도 모교와 부산중고는 이 지역을 대표하는 가까운 라이벌 명문들이다. 부산중고의 경우 일제 시대 초기인 1913년 관립부산중학교로 시작한 일본인 학교였다. 해방되자 한국인 중학교로 새출발하여?초기에는 모교와 함께 남일국민학교(현재 광일초등학교) 자리에서 같은 교사, 같은 선생님 밑에서 수학한 사실은 앞에서 얘기드린 바 있다.

?

?1949년 백낙준 문교부 장관 시절 전국에 각도별로 하나씩 여덟 개의 ?고등학교를 세우기로 한다. 부산에서도?이 학제에 의해 한 개의 고등학교를 만들게 된다. 일제 시대 일본에서 지역별로 한 개의 고등학교를 지어 우수한 인재를 많이 배출한 바 있다. 이 제도를 본딴 것인데 지역명을 따서 부산고등학교(부산고)라 이름짓게 된다. 대구 지역은 대구고, 광주 지역은 광주고라 짓게 된다. 따라서 이때 지어진 부산고는 당시 부산중(6년제)이나 지금의 부산고와는 개념이 좀 ?다르다. 이 부산고를 부산 어디에 짓느냐가 문제였는데 부산중학교 쪽으로 정해진다. ?당시 모교 경남중은 교사의 시설이 부족한 형편이었고 부산중은 다소 여유가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그리하여 모교 경남중 7회 졸업생이 중3 시절 새로 만들어지는 부산고에 대거 지원하게 된다. 신입생 110명 모집에 53명이 응시하여 전원 합격하고 1등에서 10등까지 모두 경남중 출신이 차지하게 된다. 1950년 6월 22일 부산고는 첫 입학식을 갖는다. 현 부산고등학교의 개교기념일이다. 그런데 이 학제는?6 25?전쟁 중 1년도 못되어 유명무실해지고 1951년 8월 교육법 개정으로 중고교가 분리되면서 전국의 6년제 중학교가 모두 중학교 3년과 고등학교 3년 과정으로 바뀌게 된다. 모교 경남중(6년제)의 학교명도 부산서중(3년제)과 부산제일고(3년제)로 바뀌고, 부산중(6년제)의 경우 부산동중(3년제)과 부산고(3년제)로 바뀌게 된다. 부산고에 입학한 경중 출신들은 다시 모교로 돌아오고자 했으나 당시 부산고 초대 교장이신 김하득 선생의 적극적인 설득과 교육 행정의 졸속 처리로 모교로 돌아오지 못하고 부산고? 졸업생이 된다. 우수한 인재들을 영입한 부산고가 도약하는 계기가 된다.

?

?이렇게 ?해방 후?모교 경남중고와 선의의 라이벌 부산중고는 이래저래?얽히고섥히면서 서로 경쟁하고 발전해 간다.??(계속)

?
관련
?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a_level_25.gif 김의철 17.09.22. 11:49
이것 아주 흥미있는 이야기군요. 부산고가 애초부터 일본인 학교였다는 점과..해방후 초기에는, 경남중에서
부산고로 지원해 갔다는 내용이 아주 새롭습니다. 물론 이미 알고 있었던 사람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그간에 막연히 잘못 알고 있기로는..경남고는 일본인 학교이고 부산고는 본토인 학교였다 였습니다.
누구든 뭔가 제대로 확인하여 알지 못하면..크나큰 오류를 지속 만들어 가게된다는 새삼스런 교훈이 됩니다.
?
?
a_level_25.gif 김의철 17.09.22. 12:04
근자 나성의 이원익 동기가 보내준 자료에서 보니, 서울에 소재한 경희대학의 애초 원형이..1920년대 전후
만주에 세워졌던 신흥무관학교 였다는데..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후 서울에서 그 정신을 이어받은 신흥대학
이름으로 재설립되었으나..이후의 재단 이사들은 이 사실을 모두 학교 연혁에서 지워 버리고..학교 이름도
경희로 바꾸었다는데-

지금도 그 설립자의 후손들이..애초 연혁에 그 지워진 사실을 넣어달라 부탁하고 있고..
그 사실 자체가 현싯점 누가 봐도 부끄럽지 않고 오히려 떳떳하고 자랑스런 것임에도..
그 작업을 꺼려하고 있다 함미다.
?
?
a_level_25.gif 김의철 17.09.22. 12:12
무엇때문에 꺼리는지는 몰라도, 한 때나마 대일본국에 감히 저항하는 정신을 키워냈다는 사실이
지금도 너무나 황송한(?) 것이 아닐까 추측되기도 함미다만..그렇다면, 지금이라도 아베에게 적극 부탁하여

가능한 조속한 시일내 다시 한국을 합병해주기 앙망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듬미다.

그리되면 지금과 같은 북한의 헛된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도 있어.. 마음에 안도의 크나큰
평안함이 도래하게 되리라 사료되는군요.^^
?
a_level_25.gif 지흥석 17.09.22. 17:23
이왕이면 미국의 51번째 주로 병합되는 촛불을 하면 학실히 보호받지비..
?
?
a_level_25.gif 문두찬 17.09.22. 14:44
ㅎ 서토께서 관심을 가져 주니 반갑습니다. 일제 때 부산중은 식민지 조선에서 서울의 경성중(서울고 전신)에 이어 두번째로 일찍 개교한 학교입니다. 조선 반도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을 위해 만든 학교이지요.따라서 일제 시대 부산중에는 조선인(한국인)이 거의 없었고 친일파나 특별한 경우에만 입학이 허용되었습니다. 반면 우리 모교는 일제 말기에 개교시부터 조선인과 일본인 공용으로 세워진 학교입니다.조선인 정원이 적어 당시 경쟁이 매우 치열하였고 아주 우수한 조선인 인재들만 모교에 들어올 수 있었다는 사실은 앞서 얘기드린 바 있습니다^^
?
?
a_level_25.gif 문두찬 17.09.22. 12:52
경희대의 원형이 만주의 신흥무관학교였던 사실은 말씀대로 학교 연혁에 넣어야 할 중요한 사항인 듯합니다. 서토같이 미국에 사는 유력한 교포께서 경희대 출신이신 문통이나 청와대에 얘기하몬 적극 검토할 사항일 수도 있겠네요^^
?
?
a_level_25.gif 김의철 17.09.22. 14:05
경희대 동문이자 현 국가 수반이신 문통께서 한마디만 거들면 간단히 해결될 수도 있는
아주 쉬운 일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척이 잘 되지않고 있는 사실로 근거해 볼 때..

문통을 비롯하여 현 정권 자체가 전반적으로 친일인사로 구성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절망적 상상마저 되고 잇슴미다.^^

친일이라 해서 별반 문제될 일은 없지만..존재했던 사실 자체가 지속 은폐되고 있는 일은..
이후로 나라가 제대로 뻗어나가는데..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될 것이니..그것이 문제겟지요.^^
?
?
a_level_25.gif 김수인 17.09.22. 18:18
문원장, 서토 둘다 대단하오^^
?
?
a_level_40.gif 백민호 17.09.23. 15:47
경희대학이 신흥무관학교의 정신을 계승한 것은 맞습니다.
신흥무관학교는 1912년 6월에 설립되어 10여년간 운영 되어 1920년대 청산리대첩의 대승을 거둔 독립군 양성의 군사학교였습니다. 신흥무관학교 설립의 주역은 조선의 명문 집안인 백사 이항복의 10대 후손인 이철영, 이석영, 이건영, 이회영, 이시영, 이호영 6형제가 재산을 정리하여 만주로 망명하여 세웠습니다. 그 형제중 둘째인 이석영은 고종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영의 양자로 들어가 막대한 재산을 물려 받았는데 그 재산을 정리하여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습니다. 당시 쌀 한가마 3원 이었는데 토지를 팔은 돈이 40만원 이었으니 현재 시세로 600억원 정도 되는 재산이었음.
?
?
a_level_40.gif 백민호 17.09.23. 00:17
중국에 망명은 하였으나, 당시 중국은 외국인에게 토지를 팔지 않았습니다만, 임오군란때 청년 장군으로 조선에 파병된 원세개가 이씨 집안에 머문것이 계기가 되어 친분 관계를 이용하여 힘들게 토지를 매입하여 학교의 부지를 마련하였습니다. 6형제중 광복후 살아 돌아온 사람은 초대 정부의 부통령을 지냈던 이시영뿐 이었고, 나머지 형제들은 모두 고문당하여 죽거나, 굶어 죽었습니다. 그 형제분중에서 네쨰인 우당 이회영은 나중에 무정부주의자가 되었습니다만, 6형제 모두가 독립운동을 위해 생명과 재산을 다 받쳤던 분들입니다. 신흥무관학교에서 가르친 교과목은 지금의 육군사관학교 교과와 비슷합니다.
?
?
a_level_40.gif 백민호 17.09.23. 00:24
전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였고, 오전에는 국사, 국어, 중국어, 병기학, 화학, 체조, 수신, 창가등 교과수업 위주였고, 오후에는 총검술, 군사학, 유격, 승마 등 군사훈련을 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교실 가운데는 안중근 의사의 사진과 태극기를 걸어 두었습니다. 신흥무관학교의 교가도 최근에 복원되었는데 가락은 조지아행진곡에다 독립운동의 기상을 드높이는 가사를 붙였습니다.
?
?
a_level_40.gif 백민호 17.09.23. 00:51
1919년 3.1운동 실패 후 애국 독립지사들이 만주로 망명하여 무장 독립운동을 강화시키자 일제는 무장 독립운동을 말살 시킬려고 했으나, 오히려 봉오동, 청산리 전투에서 독립군에게 대패를 당하게 됩니다.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21일부터 26일 새벽까지 일본군과 10여 차례 전투를 하여 일본군 1,200여명을 전사 시킨 반면, 독립군은 120명이 전사 했던 전투 였습니다. 당시 봉오동전투의 주력군은 신흥무관학교 출신이 지휘관이 된 1,600명의 북로군정서 이었고, 소총 1300여정,권총 150정, 기관총 7문으로 무장되어 있었습니다. 청산리전투의 주역 김좌진, 나중소, 이범석,김훈, 백종렬이 활약하였습니다.
?
?
a_level_40.gif 백민호 17.09.23. 15:46
또한 홍범도가 이끈 대한독립군등 여러 연합 부대원도 병력이 1,400여명이 되었습니다. 일제는 그에 대한 보복으로 1920년 10월 부터 부터 1921년 4월까지 만주에 살고 있는 조선인을 무차별 학살 하였습니다. 이를 경신대학살, 경신참변이라 부릅니다. 독립신문은 당시 학살된 사람을 3,700여명으로 보고 하고 있으나, 실제는 그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때 일제는 훈춘 사건을 조작하여 만주에 대규모 군대를 출병시켜 중국 마적과 결탁하여 독립군을 초토화 시키면서 만주의 조선인 마을을 불태우고 무자비한 학살을 자행 했던 것 입니다. 그 후 독립운동은 러시아의 연해주, 중국 본토로 이동하게 됩니다.
?
?
a_level_40.gif 백민호 17.09.23. 01:24
서토거사
문통이 서로군정서에서 활약했던 남자현여사 (영화 암살의 실제 주인공) , 간도참변을 취재하다 실종당한 동아일보 기자 장덕준, 영화 감독 나운규, 석주 이상룡의임청각 둥을 광복절 행사때 거명한 사실을 알고 있지요. 현재 집권 세력은 친일파 라기 보다 김구 선생의 정신을 이어받은 민족 자주파적인 성격이 강한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요.
?
a_level_25.gif 이길영 17.09.23. 06:04
백교장의 전공이 듯 보입니다.아주 잘 읽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2 박상호동기(신태양건설 회장)기사-국제신문 5월 14일 "[CEO 칼럼] 당체연화(當體蓮華)" choice 2019.05.17 396
301 박상호동기(신태양건설 회장)기사-국제신문 1월 16일 "[CEO 칼럼] 영혼의 위대함" choice 2019.01.17 446
300 메스컴보다 한발 더 나가 생각을 하면... 구문굉 2018.12.25 306
299 박상호동기(신태양건설 회장)기사-부산일보 11월30일 "[주택명가-신태양건설] 예술 돋보인 독창적 건축물부터 따스함 깃든 서민 보금자리까지"| choice 2018.12.04 711
298 26회 박상호동기(신태양건설 회장)기사 - 국제신문 10월30일 -“지혜에 관한 소고(小考)” 새글 choice 2018.11.01 308
297 26회 박상호(신태양건설 회장)기사 - 국제신문 10월14일 -“삶이 평안하고 행복한 예술적 건축물 계속 지을 것”- choice 2018.10.16 609
296 이제는 말할수 있다.27회 김수인 file 백민호27회 2018.09.05 474
295 26회 박상호(신태양건설 회장)기사 - 국제신문 8월21일 -시와 사랑에 관한 소고- choice 2018.08.23 468
294 26회 박상호(신태양건설)동기 부산일보 - 2018년 6월29일 choice 2018.06.30 853
293 38회 김기백 동문 연락이 닿는 동문을 찾아요 기백이 2018.06.28 455
292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10) 끝 백민호27회 2018.02.28 860
»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9) 백민호27회 2018.02.28 661
290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8) 백민호27회 2018.02.28 570
289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7) 소하 2018.02.28 350
288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6) 소하 2018.02.28 374
287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5) 3 소하 2018.02.28 447
286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4) 백민호27회 2018.01.31 393
285 사람(1970년생 김봉석님)을 찾습니다. 1 봉석님 2018.01.21 297
284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3) 백민호27회 2018.01.19 335
283 경남중고 초창기 이야기(보금자리2 ) 백민호27회 2018.01.08 5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